[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1장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2024. 11. 25. 20:19· JAVA/코딩자율학습-스프링부트
목차
  1. |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2. |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개발 환경 설정 
  3.  
  4. | 웹 서비스의 동작 원리 이해 
  5. | localhost:8080/hello.html 의미
728x90
반응형

|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자바 웹 프로그램을 더욱 쉽게 빠르게 만들기 위한 도구입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Spring Framework)를 개선한 것인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인 톰캣을 가지고 있어 웹 서비스를 jar 파일로 간단하게 배포가 가능합니다.

 

|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개발 환경 설정 

저는 Java 개발을 해본 적이 없어 이번 개발 환경 설정에 조금 더 집중했습니다.

 

JDK (Java Development Kit)이라고 하는 자바 개발 도구를 설치하고 

IDE를 설치하는데 이 책에서는 Java 환경의 IDE를 인텔리제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사용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을 설치를 다하고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기존에 Visual Studio나 VS Code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과 다르게 

Spring Initializr에 접속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필요한 도구들을 추가하여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책에 있는 예제를 따라가니

언어를 새로 시작하면 꼭 해봐야 하는 헬로 월드를 찍어봤습니다ㅎㅎ

 

| 웹 서비스의 동작 원리 이해 

 

웹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서버의 응답으로 동작합니다.

 

  •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사용
  • 서버 : 서비스를 제공

 

위에서 해봤던 헬로 월드 출력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서버의 응답 결과였습니다.

웹 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고 스프링 부트는 서버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 localhost:8080/hello.html 의미

 

웹 브라우저로 서버에 접속할 때 "localhost:8080/hello.html"로 접속하여 헬로 월드를 출력했습니다.

 

  • localhost : 127.0.0.1의 IP를 가지는 내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 8080 : 포트번호를 의미하는데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8080 포트번호에서 동작하는 것을 요청하는 의미
    즉, 스프링 부트를 실행했을 때 톰캣의 8080번에서 수행되고 있다는 뜻
  • hello.html : 서버에 요청하는 파일을 의미 

따라서  "localhost:8080/hello.html"로 접속하면

내 컴퓨터의 8080에서 수행되는 서버에 hello.html 파일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클라이언트에서 파일을 직접 지정하는 경우

스프링 부트에서는 src > main > resources > static 디렉터리에서 파일을 기본적으로 찾아 응답합니다.

 

 

이렇게 스프링 부트 개발환경을 설정하고 간단한 예제까지 해봤습니다.

 

728x90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JAVA > 코딩자율학습-스프링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7장 게시글 수정하기 : Update  (0) 2024.11.30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6장 게시판 내 페이지 이동하기  (0) 2024.11.29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5장 게시글 읽기 : Read  (0) 2024.11.28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3장 게시판 만들고 새 글 작성 : Create  (0) 2024.11.27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2장 MVC 패턴  (0) 2024.11.26
  1. |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2. |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개발 환경 설정 
  3.  
  4. | 웹 서비스의 동작 원리 이해 
  5. | localhost:8080/hello.html 의미
'JAVA/코딩자율학습-스프링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6장 게시판 내 페이지 이동하기
  •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5장 게시글 읽기 : Read
  •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3장 게시판 만들고 새 글 작성 : Create
  •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2장 MVC 패턴
우준세
우준세
반응형
우준세
준세 단칸방
우준세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81)
    • Python (75)
      • Python 정리 (30)
      • 백준 알고리즘 (45)
    • C# (48)
      • Winform (12)
    • C & C++ (5)
      • C++ (1)
    • 영상처리 (17)
    • JAVA (11)
      • 코딩자율학습-스프링부트 (11)
    • AI (11)
      • DL (4)
      • Pytorch (5)
      • GAN (2)
    • Computer Science (3)
      • Algorithm (3)
    • Project (7)
    • 책 리뷰 (2)

블로그 메뉴

  • 글쓰기
  • 관리자

인기 글

태그

  • Winform DataGridView
  • C# dataGridView
  • 이벤트 기반 프로그래밍
  • C# Monitor
  • 파이썬
  • opencv
  • pytorch tensor
  • python opencv
  • C# event
  • 백준
  • C# 이벤트 프로그래밍
  • C# 비동기 프로그래밍
  • C# deadlock
  • 스프링부트
  • c#
  • C# Task 메서드
  • 자바
  • 코딩자율학습
  • pytorch
  • 백준 파이썬
  • C# ContinueWith
  • opencv 객체 추적
  • c언어
  • C# 비동기
  • C# Evnet
  • c# 정규표현식
  • c# 비동기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Python
  • pytorch tutorial

최근 댓글

최근 글

우준세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부트] 1장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